JWT (JSON Web Tokens) 인증 시스템에서 갱신 토큰을 관리하는 일반적인 방법 중 하나는 Redis와 같은 메모리 내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Redis는 키-값 쌍을 저장하고,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제공하며, 데이터의 만료 시간을 설정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갱신 토큰의 관리에 매우 적합합니다. Redis를 사용하여 갱신 토큰을 관리하면, 갱신 토큰을 즉시 무효화하거나, 사용자 계정이 삭제되거나 정지된 경우 모든 갱신 토큰을 무효화하는 등의 추가적인 유연성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Redis는 메모리 내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디스크 기반 데이터베이스에 비해 훨씬 빠른 읽기/쓰기 성능을 제공합니다. 다음은 Node.js 및 Redis를 사용하여 JWT 갱신 ..
블랙리스트를 사용하는 JWT 인증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일반적으로는 서버에 토큰 블랙리스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이를 구현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하나는 데이터베이스에 블랙리스트를 저장하는 것입니다. 아래는 Node.js, Express.js, 그리고 MongoDB를 사용하여 JWT 토큰 블랙리스트를 구현한 간단한 예제입니다. 우선, 필요한 모듈을 설치해야 합니다: npm install express jsonwebtoken mongoose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jwt = require('jsonwebtoken');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const TokenBlacklistSchema =..
JWT (JSON Web Token) 갱신 토큰을 이용한 인증 시스템에서 데이터베이스는 토큰의 유효성을 관리하고 보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는 방식은 서버 측에서 토큰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필요에 따라 토큰을 무효화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방법입니다. 토큰의 생성과 저장 먼저, 사용자가 시스템에 로그인하면 서버는 JWT 토큰을 생성합니다. 이때 생성되는 토큰은 두 종류로, 하나는 짧은 유효 기간을 가진 액세스 토큰(access token)이고, 다른 하나는 긴 유효 기간을 가진 갱신 토큰(refresh token)입니다. 이 두 토큰 모두 클라이언트에게 전달되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저장하여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때 서버도 갱신 토큰에 대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합니다..